뉴스
"AFC 후진 행정" 포항, 산둥전 이긴 승리 도둑맞아→16강行 실패…빨간불 켜진 ACLE, K리그에 던진 숙제
"AFC 후진 행정" 포항, 산둥전 이긴 승리 도둑맞아→16강行 실패…빨간불 켜진 ACLE, K리그에 던진 숙제
botv
2025-02-20 18:31


산둥은 19일 오후 7시 울산 문수축구경기장에서 울산 HD와 리그 스테이지 최종전을 치를 예정이었다. 그러나 킥오프를 불과 몇 시간 앞두고 기권해 버렸다. 선수들의 '건강상 이유'라고 했지만 최근 불거진 정치적 이슈가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니냐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산둥은 지난 11일 광주FC와의 홈경기에서 원정팬 쪽으로 5·18 민주화운동의 아픔을 희화화하는 '전두환 사진'을 등장시켜 큰 파장을 몰고 왔다. 원정에선 한국 팬들의 '보복'을 우려했다는 의혹을 지울 수 없다.

산둥은 이미 탈락이 확정된 울산을 상대로 비기기만해도 16강에 진출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 기회를 스스로 날려버렸다. 산둥의 승점이 '0점' 처리되면 그 자리를 포항 스틸러스가 꿰찰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있었다. 포항은 18일 조호르 다룰 탁짐(말레이시아)과의 최종전에서 2대5로 패하며 8위에서 9위로 떨어지며 탈락했다. 동아시아와 서아시아, 두 권역으로 나뉘어 치러지는 ACLE 리그 스테이지는 각각 상위 8개팀이 16강에 진출한다.


상하이 포트의 경우 자국 팀끼리는 리그 스테이지에서 만나지 않는다는 규정으로 승점 8점이 그대로 유지됐다. 포항으로선 억울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상하이 포트는 8경기, 포항은 7경기에서 얻은 승점이다. 경기 수에서 치명적인 결함이 있었다. 그러나 AFC는 '기권팀이 나올 경우 해당 클럽과 치른 공식전 결과가 모두 지워진다'는 원칙을 고수했다. '후진 행정'이 빚은 참사였다. 조별리그가 아닌 통합 스테이지로 운영되는 ACLE의 경기 방식을 제대로 규정에 반영하지 못해 벌어진 '촌극'이다. ACLE는 우승 상금만 무려 1000만달러(약 144억원)지만 AFC가 스스로 그 권위를 떨어뜨렸다.


이정효 광주 감독은 16강에 진출하고도 '투자'를 화두로 올려놓으며 찜찜해 했다. 결국 외국인 선수 수준 차이가 대세를 갈랐다. ACLE는 외국인 선수 출전 제한이 없다. 조호르는 포항전에서 '베스트 11' 가운데 10명을 '용병'으로 채웠다. 교체 선수도 5명 중 4명이 외인이었다. 태국의 부리람 유나이티드도 광주와의 마지막 대결에서 주전 9명을 외국인 선수로 가동했다. 이 정도는 아니지만 일본과 중국의 외국인 선수들의 수준도 K리그보다 훨씬 우수하다.


김판곤 울산 감독은 2025시즌을 앞두고 울산의 ACLE 부진에 대해 "국내 선수들은 일본, 중국, 말레이시아보다 낫다. 그러나 외국인 선수의 자질은 떨어진다"며 "우리는 ACLE에서 한 경기를 제외하고 볼점유율이 상대 보다 높았다. 하지만 결정력에서 차이가 있었다. 상대는 외국인 선수들이 골을 넣고, 우리는 그렇지 못했다. 똑같은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K리그의 아시아 무대 경쟁력 강화, 한국 축구의 새로운 숙제로 떠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