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은퇴기자회견서 밝혀
구자철은 “은퇴는 수년 전부터 생각해왔다. 제가 받았던 사랑과 경험을 활용해 한국 축구를 위해 역할을 하고 싶다”고 했다.
유소년 어드바이저 자리는 구단에서 먼저 제안했다. 구자철은 “독일에 있을 때 구단에서 여러 일을 배웠다”며 “서두르지 않고 매듭이 되는 일을 하기 위해 수락했다”고 했다.
구자철은 2007년 제주에서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2010년 K리그 도움왕 등 국내 프로 축구를 대표하는 선수로 성장했다. 2011년 독일 분데스리가 볼프스부르크 유니폼을 입고 유럽에 진출했고, 2019 중동으로 무대를 옮겨 카타르의 알가라파, 알코르에서 활약했다. 2022년 3월 유럽으로 떠난 지 11년 만에 제주에 복귀했다.
K리그1 통산 성적은 7시즌 동안 116경기에서 9골 21도움. 태극마크를 달고 아시안컵에 세 차례(20011년·2015년·2019년) 출전했고, 월드컵 본선 무대도 두 차례(2014년·2018년) 밟으며 A매치 76경기에서 19골을 넣었다. 하지만 제주에 돌아와서는 부상 등으로 몇 경기에 나서지 못했다.
구자철은 “제주 복귀 후 많은 경기에 나서지 못해 미안한 마음이 컸다”며 “그 안타까움을 제주의 새로운 발전을 위한 기대감으로 바꿀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뛰겠다”고 했다.
구자철은 은퇴하면서 가장 기억나는 순간으로 “(2012 런던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목에 걸고 시상식에서 태극기가 올라가는 모습을 봤을 때”를 언급했다.
아쉬운 순간은 “2014 브라질 월드컵”이다. 구자철은 당시 대표팀 주장을 맡았다. 한국 축구 대표팀은 1998 프랑스 월드컵 이후 최악의 성적을 내며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지금까지 마음에 담아둔다. 월드컵에 출전하는 건 사회적 책임이 따른다. 그 경험을 통해 성장했지만 저의 부족함 때문에 국민에게도 (브라질) 월드컵 결과가 아쉬운 부분으로 남았다”고 했다.
구자철은 구단 유소년 선수들에게 축구 선수가 갖춰야 할 훈련 태도, 자기 관리 등을 교육할 예정이다. 구자철은 “제주 후배들에게도 프로 선수는 어린 선수들에게는 꿈, 동경의 대상이다. 그들이 배울 수 있는 말과 행동을 해야 한다고 말한다”며 “그게 프로 선수로서 사회적 책임”이라고 했다.